퀸틴 타란티노 감독의 '바스트즈: 거친 녀석들'은 처음 영화관 스크린에서 만났을 때부터 나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작품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타란티노 특유의 상상력으로 재해석한 이 작품은 단순한 전쟁 영화를 넘어서 영화 자체가 가진 힘에 대한 메타포로 읽힌다.
영화는 크게 두 축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한쪽은 유대인 출신 미국 군인들로 구성된 '바스트즈' 부대와 그들의 리더 알도 레인(브래드 피트)의 나치 사냥이며, 다른 한쪽은 부모님을 잃고 파리에서 영화관을 운영하게 된 유대인 소녀 쇼샤나(멜라니 로랑)의 복수 계획이다. 두 이야기는 궁극적으로 히틀러와 나치 고위층이 참석하는 영화 시사회에서 교차하며 폭발적인 클라이맥스로 이어진다.
타란티노는 이 영화에서 역사를 다시 쓴다. 실제 역사와 달리, 히틀러는 영화관에서 불타 죽고 제2차 세계대전은 다른 방식으로 끝난다. 이는 단순한 판타지를 넘어 영화가 가진 '역사 재구성의 힘'을 보여준다. 역사의 희생자들에게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상상적 정의와 복수의 가능성을 선사하는 것이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영화의 구조다. 각 챕터로 나뉜 영화는 마치 소설처럼 진행되며, 긴장감 넘치는 대화 신과 갑작스러운 폭력의 분출이 교차한다.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한스 란다(크리스토프 왈츠)와 프랑스 농부의 대화 장면은 최소한의 동작과 대사만으로도 어떻게 극도의 긴장감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교과서적인 예시다. 타란티노는 관객에게 무언가 끔찍한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감을 심어주고, 그 긴장을 참을 수 없을 만큼 늘려가다가 마침내 폭력으로 터뜨린다.
크리스토프 왈츠가 연기한 한스 란다 '유대인 사냥꾼' 캐릭터는 영화사에 길이 남을 빌런이다. 그의 친절하고 예의 바른 태도가 내포한 잔인함과 계산된 악의는 더욱 소름 돋게 만든다. 여러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며 대화를 통해 상대방을 함정에 빠뜨리는 그의 모습은 언어가 얼마나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왈츠는 이 역할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았고, 그것은 너무나 당연한 결과였다.
영화의 또 다른 중심축인 쇼샤나의 이야기는 개인적 복수극을 넘어 영화 매체 자체에 대한 찬사로 읽힌다. 그녀가 선택한 복수의 도구는 다름 아닌 영화다. 단순히 폭탄을 심는 것을 넘어, 그녀는 자신의 얼굴을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써 나치에게 유대인의 얼굴을 직접 마주하게 한다. 이 장면은 영화가 가진 힘, 즉 이미지를 통해 역사적 진실을 전달하고 기억을 보존하는 힘에 대한 메타포로 해석된다.
타란티노의 영화는 항상 음악 사용에 있어서도 독특하다. 이 영화에서도 엔니오 모리코네의 음악부터 데이비드 보위의 '캣 피플'까지 시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 선택이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강화한다. 특히 쇼샤나가 분장을 하며 복수를 준비하는 장면에서 흐르는 보위의 음악은 그 긴장감과 결연함을 완벽하게 표현한다.
영화는 또한 언어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보여준다. 여러 언어가 혼재하는 가운데, 언어는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 정체성과 생존의 문제와 직결된다.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를 오가는 대화 속에서 발음의 작은 실수가 목숨을 좌우하는 순간들이 여러 번 등장한다. 특히 술집 장면에서 영국 장교가 독일어 숫자 3을 영국식으로 표현하는 순간은 언어가 얼마나 깊이 우리의 정체성에 각인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바스트즈'는 또한 영화에 대한 영화다. 조제프 괴벨스가 제작한 선전 영화 '네이션스 프라이드'와 그것을 관람하는 나치 고위층의 모습, 그리고 그들이 불타는 장면은 영화가 가진 정치적 힘을 강조한다. 타란티노는 영화를 통해 역사의 희생자들에게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며, 동시에 영화라는 매체가 얼마나 강력한 정치적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바스트즈: 거친 녀석들'은 단순한 대체역사 전쟁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영화의 힘에 대한 찬사이자, 역사의 트라우마를 예술을 통해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에 대한 타란티노의 제안이다. 폭력적인 장면들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궁극적으로 역사의 희생자들을 위한 일종의 위로를 제공한다. 그들은 실제 역사에서는 그럴 수 없었지만, 적어도 영화 속에서는 스스로의 운명을 바꿀 힘을 갖게 된다.
타란티노는 영화의 마지막에서 한스 란다의 이마에 새겨진 나치 문양을 통해 "이것이 내가 만들 수 있는 최고의 작품"이라고 말한다. 이는 단순히 영화 속 대사를 넘어, 감독 자신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역사의 희생자들에게 그들이 꿈꿨을 복수와 정의의 순간을 상상적으로나마 선사하는 것—에 대한 선언으로 읽힌다.
'바스트즈: 거친 녀석들'은 그렇게 역사와 영화, 복수와 정의, 그리고 예술의 힘에 대한 복합적인 명상으로 남는다. 그리고 타란티노는 이 영화를 통해 영화가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어떻게 역사적, 정치적 담론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를 강력하게 보여준다.